이미지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이미지 출처=클립아트코리아

 

(한국금융경제신문) 김가람 기자 = 최근 3년 코로나로 기업들의 실적 악화에도 불구하고 사회에 대한 경제적 가치 배분은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 회장 허창수)는 25일 'K-ESG 팩트북 2021'을 발표했다. 올해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한 30대 그룹 75개사의 ESG 정량지표를 분석한 보고서다.

조사 대상 기업들의 경영실적은 경기둔화 추세와 팬데믹 등이 맞물리면서 악화되었다. 매출 증감율은 ’19년 △0.3%, ’20년 △2.1%였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19년 각각 △48.7%, △54.7%로 큰 폭으로 감소한 후 지난 해 각각 12.0%, 12.1% 증가해 다소 회복됐다.

이에 반해 이해관계자에 대한 경제적 가치 배분은 ’18년 1개사당 평균 12조 3,750억원에서 ’19년 13조 6,026억원으로 10% 증가하고 20년에는 3% 감소한 13조 2,001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년에는 특히 주주에 대한 환원인 배당금총액이 75.9%로 크게 증가했다(삼성전자 배당금 9조→20조로 2배 이상 증가). 종업원 급여 또한 ’19년 5.1%, ’20년 2.7% 증가했다. 지역사회 등을 대상으로 환원하는 기부금 평균도 ’20년 38% 가까이 늘었다. 한편 ’20년 이해관계자에 대한 경제적 가치 배분 총액은 694조 5,767억 원으로 매출액 929조 6,362억 원 대비 74.7%였다.

조사대상 기업들이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하면서 온실가스 배출량 역시 3년 동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의 직간접 배출량(스코프 1, 2)는 ’18년 314만 톤(tCO2)에서 ’19년 310만 톤으로 1.4% 감소했으며, ’20년에 다시 4.7% 감소해 295만 톤으로 줄어들었다. 소비자, 협력사, 물류 등 기업이 직접 통제할 수 없는 영역에서의 간접배출은 스코프 3까지 포함한 총 배출량 역시 ’19년 △8.4%, ’20년 △7.9%로 감소세를 보였다.

수자원관리, 대기·수질오염물질 관리 분야의 개선효과가 뚜렷했다. 기업당 평균 용수사용량, 폐수방류량은 ’19년 소폭 증가한 후 ’20년 각각 3.2%, 1.6%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용수 재사용량은 2년 연속 증가했다.

한편 석유나 석탄이 연소할 때 발생하는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 평균 배출량은 3년간 꾸준히 감소했으며, 특히 황산화물은 ’19년 전년대비 22.8%로 감소하는 등  큰 폭으로 개선되었다. 물의 오염 정도를 나타내는 COD, BOD, SS의 ’18년 대비 ’20년 평균치가 모두 낮아졌다.

폐기물관리의 경우 일반폐기물, 유해폐기물 모두 2018년부터 배출량이 꾸준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폐기물에 대한 재자원화율은 3년 연속 66%를 넘기며 증가하고 있다. 

이 같은 환경오염 예방과 환경시설 마련 등을 위한 환경투자에는 평균적으로 연간 700억원 이상 지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도별 투자액은 ’18년 575억원, ’19년 778억원, ’20년 701억원으로 ’19년 이후 크게 증가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탄소중립 등 국가적 사안에 적극 대응하는 차원에서 기업들의 환경투자가 급증하고 있는 만큼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사회 분야에서는 인권, 산업안전, 다양성 증진에 성과를 보였다. 임직원 등 이해관계자들의 인권보호 지침인 인권경영헌장을 도입한 기업은 75개사 중 27개사(36%)였으며, 미도입 기업들도 윤리규범, 행동강령(Code of Conduct) 등으로 규율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산업안전보건 국제인증인 ISO45001은 48개사가 취득하여 전체의 64%가 인증을 완료했다.

취약한 분야로 평가되고 있는 다양성 영역에서도 개선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인종 이슈가 중요한 미국 등과는 달리 젠더 이슈에 대한 관심이 높다. 여성 임원비율은 ’18년부터 각각 3.3%, 3.9%, 6.1%로 높아지고 있으며, 여성 관리자(과장에서 부장급) 비율도 8.5%, 9.5%, 10.8%로 상승세다.

한편 고용 등 인적자원관리, 교육과 같은 인적자원개발, 사회봉사 등 사회공헌 분야에서는 글로벌 경기침체, 팬데믹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채용은 ’18년, ’19년에는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20년에는 팬데믹의 영향으로 14% 가까이 감소했다. 전체 임직원 수의 합계인 고용 분야는 ’19년의 경우 전년대비 2.3% 감소했으나, 지난해는 0.7%로 소폭 감소해 비교적 선방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당 연간 총 교육비용(평균)은 ’18년 98억대를 기록했지만 ’19년 5% 감소했으며, 팬데믹으로 대면 모임이 어려웠던 ’20년은 12.2%로 크게 감소했다. 

봉사인원은 ’19년 소폭 증가했지만 ’20년에는 56.9% 감소했으며 봉사시간도 비슷한 규모로 줄었다. 전경련은 이같은 변화에 대해 "코로나 확산 이후 기업의 재택근무 확대, 대면활동 최소화와 언택트 활동으로 전환한 여파로 해석된다"며, "이같은 추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 같다"고 덧붙였다.

조사대상 75개사 중 53개사(70.7%)가 ESG 담당 위원회를 설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ESG 위원회 설치 기업에 대한 기관투자자(국민연금) 지분율은 평균 6.94%였으며, 위원회 명칭은 ESG 위원회 이에도 ESG경영위원회, 지속가능경영위원회, 기업시민위원회, ESG·전략위원회, 투명경영위원회, 거버넌스위원회 등 다양했다. 위원장은 교수 27명(50.8%), 관료 10명(18.9%), 기업인 10명(18.9%), 법조인 3명(5.7%), 기타 3명(5.7%) 순이었다. 

또 임직원의 준법경영과 기업윤리 의식 제고를 위한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준법경영교육 참석자 수는 기업당 연간 1만 2천 명 규모로 증가세를 보였다.

전경련 관계자는 "팩트북을 통해 ESG 경영의 양적, 질적 개선 여부가 확인되고 있다"며, "과거 사회공헌, 환경경영 활동 등에 비해 몇 배의 자원을 기업들이 투입하고 있는 만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이해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한국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