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경제신문) 김가람 기자 = 중국 투자 한국 법인은 2016년 이후 매출액, 이익률, 시장점유율에서 하락하는 등 삼중고를 겪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중국 투자 한국 법인의 경영실적을 분석한 결과 매출 100대 기업 중 중국 매출 공시 30개 대기업의 중국 매출은 2020년 117.1조원으로 2016년 대비 6.9% 감소했다.

이는 2018년부터 미국의 중국 무역규제로 화웨이 등 중국 기업의 한국산 메모리 반도체 수요가 감소한 것이 매출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는 설명이다. 실제 한국의 2020년 중국 메모리반도체 수출은 2018년 대비 29.1% 감소했다. 중국 매출이 감소함에 따라 30개 대기업의 전체 해외매출 중 중국의 비중은 2016년 25.6%에서 2020년 22.1%로 3.5%p 줄었다.

자료 :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자료 : 무역협회 무역통계

이와 관련해 한국?일본의 전체 중국법인에 대한 최신 경영실적리포트에 따르면 한국의 전체 중국법인 매출은 2016년 약 225조원에서 2019년 약 171조원으로 2016년 대비 21.1% 감소한데 반해, 일본 전체 중국법인 매출은 2016년 약 490조에서 2019년 약 502조원으로 1.1% 감소하는 것에 그쳤다.

한국 전체 중국법인의 매출은 2013년을 정점(약 261조원)으로 지속 감소하고 있다. 이는 2018년 미?중 무역전쟁에 따른 화훼이 등 중국 기업의 한국 반도체 등에 대한 수요 감소, 현지수요 감소, 경쟁심화 등이 겹쳤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실제로 올해 2월 중국한국상회 조사결과에 따르면 우리 기업들은 매출 감소원인으로 현지수요 감소, 경쟁심화 등 순으로 꼽았다. 이에 따라 2015년 이후 한국 기업의 중국 신규 법인 및 총인원 역시 지속 감소세에 있다. 같은 기간 한국 기업의 아세안 10개국 신규법인 및 총인원이 꾸준히 늘어난 것과 대조를 이룬다.

자료 : 수출입은행, 해외직접투자 통계 및 [해외직접투자 경영분석] 각년도
자료 : 수출입은행, 해외직접투자 통계 및 [해외직접투자 경영분석] 각년도

한국 전체 중국법인의 영업이익률은 2016년 4.6%에서 2019년 2.1%로 2.5%p 감소한 반면, 일본 전체 중국법인의 이익률은 2016년 5.5%에서 2019년 5.3%로 0.2%p 감소하는데 그쳤다.

자료 : 수출입은행 [해외직접투자 경영분석], 일본 경제산업성 [海外事業活動基本調査] 각년

이처럼 2016년 이후 한국 중국법인의 매출액과 이익률이 일본보다 더 감소한 것은 한국 브랜드 자동차, 스마트폰, 화장품 등 주요 품목의 중국 시장점유율이 계속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 브랜드 승용차의 경우 중국시장 점유율이 2016년 7.7%에서 2020년 4%로 줄어든 반면, 일본 브랜드의 시장점유율은 2016년 15.1%에서 2020년 22.3%로 증가했다.

증극 수입화장품에서의 한국 점유율은 2016년 27%에서 2020년 18.9%로 감소한 반면, 일본의 점유율은 2016년 16.8%에서 2020년 24.8%로 대폭 증가했다. 스마트폰의 시장의 경우는 더욱 심각하다. 중국 스마트폰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2016년 4.9%에서 2019년부터 1% 미만으로 떨어져 사실상 존재감이 상실된 상황이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양국 정부 간 공식·비공식 경제협의체를 활발히 가동해 기업의 당면 중국 비즈니스 애로 해소, 한중FTA 서비스?투자 협상의 조속한 타결 등에 힘써야 한다”면서, “이를 통해 기업들이 문화컨텐츠, 수소에너지, 바이오 등 신성장분야에서 새로운 중국 비즈니스 기회를 발굴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한국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